본문 바로가기
공연 및 전시

[영화] 세계 최초, 원자폭탄의 아버지 "오펜하이머" 후기

by Theodora 2023. 8. 16.
728x90
반응형

오펜하이머 포스터 [사진: 유니버설 픽쳐스]

 

오펜하이머(OPPENHEIMER)

로버트 오벤하이머 (J.Robert Oppenheimer)의 시점으로
세계 최초로 원자폭탄을 개발한 맨해튼 프로젝트의 진행과정을 그린 영화

 

[기본 정보]

- 영화의 원작은 2006년 퓰리처상을 수상한 오펜하이머의 전기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평전'입니다.

- 놀란 감독의 12번째 장편 영화로 처음으로 선보인 일인칭 시점의 서술 방식을 택한 영화입니다.

 

 

[후기]

영화 개봉일이 8월 15일 광복절이라 마침 잘 됐다는 생각으로 예매하려 했는데, 

사람들이 코엑스 메가박스 영화관이 거의 다 꽉 찰 정도로 정말 많이 예약을 해놓은 터라, 그 기대감이 너무 올라갔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영화 오펜하이머는 재밌었다.

다만, 더 즐겁게 관람을 하려면 오펜하이머의 역사적 배경이나 실화를 사전에 조금 알고 가는 것을 추천한다. 

 

과학 이야기를 중점으로 다루며, 오펜하이머의 인물 중심적으로 인간을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으로 가지 않았기 때문이다. 

 

오펜하이머의 마녀 사냥에 대한 정치적인 이야기와

핵폭탄을 만들었다는 죄책감을 느끼는 인간의 고뇌, 인간의 복잡함이 잘 느껴지는 영화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고 나오면 마음이 많이 무거워지고, 고민거리들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나치가 이미 핵폭탄을 만들고 있는 환경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과학적 사실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폭탄을 만드는 선택, 

그리고 그 폭탄이 어디로, 어떻게 사용될지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황, 

그 어느 하나 선택할 수 없지만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주어지는 정치적인 고뇌들까지 

 

영화를 보면서 

어느 하나 사이다일 수 없는 상황에 고구마를 느끼기도 하지만

나라면 그러지 않을 수 있나, 이게 바로 그 정치적이고도 이기적인 전쟁상황 속에서 생각해 볼거리가 많은 영화임을 다시 깨닫는다. 

 

물론 3시간의 러닝타임을 갖는 영화이고, 

처음엔 핵폭탄을 만드는 동안의 전체적인 풀컬러와 

스트로스(로다주 역할)가 청문회를 하는 흑백컬러의 적응 등의 시간이 필요하기도 했으며, 

중간 부분에 다소 루즈함(?)에 조금 졸기도 했지만

 

전체적인 영화의 흐름과 고민거리, 영화가 주고자 하는 메시지가 정확했던 영화여서 

역시 놀란감독의 놀랄만한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를 보고 본 사람과 깊은 대화를 할 수 있는 거리도, 장면도 많았던 영화라 좋았습니다. 

 

 

[기억에 남는 장면]

 

1. 에밀리 블런트 (오펜하이머 와이프 키티 역)가 너무나도 오래된 기억을 과거와 현재로 비교를 하며 거짓과 참을 논하는 오펜하이머의 말도 안 되는 청문회 자리에서 

 

"아, 그 일 16년 전 일이죠, 17년? 아, 죄송 18년?" 이라고 위트 있게 롭을 까는 장면이 너무 사이다였습니다.

 

죄책감에 그냥 청문회를 받아드리려 하고, 무너져가는 오펜하이머를 보다가 사이다를 주는 키티에게 너무 걸크러쉬를 느껴버림!!

 

2. 사실 과학자들 특히 물리학자들, 심지어 교수들. 

교수 셋만 모여도 싸움난다고 하는 판에 수백명의 과학자들을 데리고, 교수들을 밤새도록 일을 시킨 오펜하이머.

과학 행정가로서 리더십을 잘 보여준 오펜하이머,,, 카리스마, 눈빛이 자주 나오는데 그 눈이 너무 좋았습니다.

 

 

 

+) 메가박스 프리얼 스무디

메가박스 프리얼 스무디

 

아침에 상큼하게 스무디를 먹고 싶어서 주문했는데, 

 

모르면 먹지 말라고 했던가....

 

꽁꽁 얼린 상태로 온 스무디를 보고 영화관 내에서 어이없는 실소가 나왔던 스무디,, 

 

하지만, 알고 보니 직접 제조해서 먹어야 하는 것이었다. 

 

꽁꽁 얼어있는 프리얼 컵을 주고, 본인이 직접 쉐이크 농도를 설정해서 먹는 것이기 때문에,,,, 

 

급하게 영화관에 들어가야 하거나 혹은 귀찮은게 싫다 하는 저 같은 사람은 제로콜라를 먹는 것으로 해요... 또륵

 

내 스무디ㅜㅜ

 

 

728x90
반응형